치과 마취 부작용 이야기입니다. 치과 마취 중 가장 흔한 마취는 국소마취 중 침윤마취입니다.
바늘로 해당 부위에 마취제를 투여하는 방식입니다.
그래서 침윤 마취의 부작용과 치과 마취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마취제인 리도카인의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혹시나 침윤 마취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이전 포스팅인 “치과 마취 풀리는 시간“을 참고해 주세요.
[목차]
3. 치과 마취 부작용 이야기
4. 치과 마취 주의사항 이야기
사실 치과 마취의 부작용은 극히 드문 경우입니다.
그러니 너무 걱정하진 마세요.
– 신경과 근육에 미치는 영향
대부분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그런데 빠르게 여러 번, 많이 맞으면 문제가 됩니다.
해당 부위의 신경섬유가 변성되어서 감각이 이상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근육도 마찬가지로 손상될 수 있습니다.
신경은 보통 6개월 지켜보고 근육은 2주 정도 지켜봅니다.

– 혈관수축제로 인한 문제
마취제 속에는 혈관수축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게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심장 안 좋으신 분!
이런 분들은 사전에 꼭 이야기해 주셔야 합니다
중증 심질환의 경우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 중추신경계와 치과 마취 부작용
어지럽고, 귀에서 윙윙 거리는 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
이건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심하면 경련과 호흡정지까지 가능하니, 과거에 마취를 하면서 부작용이 있으셨던 분은 꼭 이야기해 주셔야 합니다

– 순환기와 치과 마취 부작용
막 심장 쿵쾅쿵쾅 뛰고 불안 증세 강해질 수 있습니다
대체로 혈관수축제 때문이긴 합니다
고혈압이나 빈맥이 나타날 수 있고 심하면 순환계 붕괴까지도 가능하니, 마취 중간에 이런 증상이 있으면 의사에게 꼭 이야기하세요
잠시 중단하고 모니터링해가며 진행해야 합니다.
– 국소마취제에 의한 알러지 반응
이는 약물 알러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마취제인 리도카인에 대한 과민반응입니다.
알러지 반응은 아래와 같습니다.
알러지 반응 | 임상 소견 |
국소적 피부 반응 | 국소적 발적, 부종, 소양증 |
전반적 피부 반응 | 소양증, 두드러기, 큰 발적, 입술의 맥관성 부종 |
호흡 곤란 | 기관지 협착, 후두부종, 호흡곤란 |
과민성 쇼크 | 위 모든 증상 외에 저혈압, 심장관계 허탈 |
– 기타 리도카인 자체의 부작용
위 언급 내용 이외 리도카인 자체의 부작용으로는 고열, 떨림, 경련, 졸음, 불안, 흥분, 구역, 구토, 어지러움, 두드러기, 부종 등이 있습니다.
리도카인이나 다른 국소마취제를 이전에 맞은 후 위와 같은 증상이 있었다면 반드시 치과의사에게 미리 알려주어야 합니다.
이상으로 치과 마취 부작용 이야기였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치과 마취 후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앞쪽 목차를 참고해 주세요!
[관련 상품 보기]
지금 바로 구강 타입을 알아보세요!
구강 케어 용품은 자신에게 가장 알맞은 제품을 사용해야 합니다. 내게 알맞은 제품은 무엇일까요? 지금 바로 구강타입테스트를 시행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