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엑스레이 이야기입니다. 치과에 가면 항상 엑스레이 찍으라는 이야길 많이 듣습니다. 왜 그럴까요?
당연히 눈에 안보이는 부분을 자세히 보기 위해서 그렇게 합니다.
충치라든가, 잇몸 뼈라든가, 이런 친구들은 눈으로 보는 것보다 치아 안쪽에 있는, 혹은 잇몸에 가려 안보이는 부분들이 훨씬 중요하기 때문에 엑스레이 촬영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엑스레이는 안전할까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치과 엑스레이의 안전성과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문적으로 가면 너무 어려우니, 쉽게 그리고 간단한 내용만 풀어서 진행하겠습니다.
1. 치과 엑스레이 종류
치과 엑스레이 종류는 3가지를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 구내 방사선 사진
– 파노라마
– CT (CBCT)

– 구내 방사선 사진
구내 방사선 사진은 치아 2-3개만 나오게 찍는 작은 사진입니다.
대신 더 선명하고 잘 보이겠죠? ‘완전 집중해서 이 부분을 봐야겠다’싶으면 구내 방사선 사진이 좋습니다.

– 파노라마
파노라마는 큰 사진입니다.
우리 치아 전체의 배열, 치아와 뼈 사이의 관계를 잘 알 수 있습니다.
한 장의 사진만으로도 많은 걸 알 수 있겠죠?
그래서 대부분의 치과에서 제일 먼저 파노라마 엑스레이 촬영을 합니다.
파노라마 한 장 찍고 진료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진료 끝나고 나서도 찍습니다.
치료 잘 되었는지, 다른 부분 체크할 건 없는지 보는 것입니다.

– CT (CBCT)
CT는 대체로 수술 전에 찍습니다.
콘빔CT 라고 불리는 CBCT를 많이 찍습니다.
위 사진에서 제일 왼쪽 사진이 구내방사선 사진입니다. 가운데는 CT 사진입니다.
제일 오른쪽은 CT 사진을 보기 좋게 재구성한 사진입니다.
보통 환자분들과 수술 상담할 때, 엑스레이 사진 중 CBCT 재구성 사진을 가지고 상담합니다.
왼쪽 엑스레이 사진은 일반분들이 보기엔 어렵거든요.
근데 오른쪽 사진은 딱! 누가봐도 치아처럼 보이고, 뼈가 녹은게 보이니 설명하기 쉽습니다.
2. 치과 엑스레이의 안전성
치과 엑스레이는 굉장히 방사선량이 적습니다.
보통 우리가 생활하면서 태양이나, 음식, 지표면 등에서 나오는 방사선을 흡수합니다.
이를 ‘자연방사선량‘이라고 합니다.
그냥 일상생활하면서 자연스레 자연으로부터 흡수하는 방사선량입니다.
한국의 경우 연평균이 2.5~ 4.0mSv 정도입니다.
그럼 치과 엑스레이는 얼마나 될까요?
– 구내 방사선 사진의 경우 보통 0.003mSv 입니다.
요새는 전자 센서를 이용해서 0.002mSv 정도입니다.
– 파노라마는 큰 친구니까 더 방사선량이 쎈 편입니다.
그래도 0.01mSv 정도입니다.
- CT는 훨씬 더 긴 시간동안 촬영을 합니다.
그래서 방사선량이 0.03 ~ 0.05mSv 정도입니다.
이는 자연방사선량의 3-5일 정도입니다.
많아 보이시죠?
보통 우리가 가슴 엑스레이 찍으면 0.05mSv 정도 노출됩니다.
가슴 CT 찍으면? 8.0mSv 정도입니다.
다른 엑스레이에 비해 치과 엑스레이는 매우 작은 양임을 알 수 있습니다.

위 사진을 보시면 치과 엑스레이가 얼마나 작은 양의 방사선을 발생시키는지 알 수 있습니다. 바나나 2개 먹는 것과 구내 방사선 사진이랑 같습니다.
비행기 한 번 타는 것 만큼 방사선량 발생시키려면 파노라마 10번 찍어야 합니다.
그러니 너무 걱정안하셔도 됩니다. 물론 아주 미미한 방사선량으로도 암 발생, 유전적 효과의 위험성 등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검사는 꼭 필요한 경우 아주 적은 양의 방사선을 사용하므로 걱정없이 의료진 처방 하에 시행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애초에 치과에서 엑스레이를 찍는 이유가 좀 더 잘 보고 판단해서 잘 치료하고 경과 관찰을 하기 위해 찍습니다.
모든게 여러분의 치료를 위한 과정의 일부이고, 이에 대한 적절한 방사선량에 대한 규제가 엄격하게 정해져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시면 좋겠습니다.
이상 치과 엑스레이 관련 포스팅이었습니다. 아래 내용도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https://www.healthline.com/health/dental-x-rays
[관련 상품 보기]
지금 바로 구강 타입을 알아보세요!
구강 케어 용품은 자신에게 가장 알맞은 제품을 사용해야 합니다. 내게 알맞은 제품은 무엇일까요? 지금 바로 구강타입테스트를 시행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