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악물기는 치아를 마모시킵니다. 그 외에 여러 문제를 불러옵니다. 이악물기 대체 왜, 무엇이 문제일까요?
1. 정상적인 스트레스
치아라는 건 혼자 존재하는 게 아니라, 그 주변 조직과 함께 있습니다.
주변 애들이 열심히 지지해 줘야 정상적으로 작동한다는 소리입니다.
그럼 주변에 무엇이 있을까요?
뼈도 있고~ 인대도 있고 잇몸도 있습니다.
그중 인대는 뼈와 치아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고 치아에 힘이 빡! 가해졌을 때 그 힘을 뼈로 슬며시 전달해 주는 친구입니다. 너무 많은 힘이 치아에 몰리지 않게 해준다고 보시면 됩니다.

건강한 구강구조에서도 치아에 스트레스가 올 수 있습니다,
언제냐! 바로 밥 먹을 때, 그리고 침 삼킬 때입니다.
밥 먹을 때는 당연히 치아가 서로 맞닿으니까 힘이 딱딱딱 전해지겠죠?
그런데 침 삼킬 때???
여러분 지금 침 삼켜보세요.
신기하게도 이를 맞닿으면서 삼키죠?
그래서 침 삼킬 때 치아에 스트레스가 가해집니다.
보통 이런 건 잠 잘 때 일어납니다.
나도 모르게 침 삼키면서 이를 딱딱딱 부딪히는거죠.
우리는 알게 모르게~ 밤에 무려 500번 가량을 침을 삼킵니다. 놀랍죠?
이런 스트레스는 괜찮습니다.
밥 먹을 때, 침 삼킬 때는 리듬도 있고~ 역동적이고~ 하루 중에 얼마 안 되는 시간 동안 일어나는 일이라 괜찮습니다.
그리고 치아에 힘이 가해지는 방향도 수직 방향입니다.

시린이 케어 세트
에델바이스 고불소 치약 120g + 미세모 2150 치과 칫솔
이것저것 합치면 정상적으로 우리가 치아를 몇 분이나 서로 닿게 할까요?
생각보다 매우 적습니다.
보통 20분 내외입니다.
1969년에 이걸 조사한 논문이 발표되었는데 밥 먹을 때 한 10분, 침 삼킬 때 한 10분 이렇게 해서 20분 내외입니다.
자, 정리해보겠습니다. 정상적으로는 20분 내외로, 그것도 수직 방향으로 이를 맞닿습니다.
그리고 리드미컬하고 역동적이며 간헐적으로 일어나는 일입니다.
그런데 이악물기 습관은…?

2. 비정상적인 스트레스
이 악무는 습관의 문제는 정상적인 스트레스랑 완전히 반대라는 것입니다.
시간도 길고, 리드미컬하지도 않고 역동적이지도 않고 간헐적이지도 않습니다.
그냥 힘으로 꽉! 완전 계속 눌러버리는 겁니다.
우리가 보통 밥을 먹을 때 쓰는 힘이 100이라고 하면 이 악물기는 최소 200, 많으면 1000 이상까지 힘을 씁니다.
엄청난 힘으로 물어버립니다.
이게 웃긴 게, 저걸 재현해보려고 이를 막 꽉!!!!! 물잖아요? 그래봐야 150-200까지 밖에 안됩니다.
막 500, 1000만큼 힘을 발휘할 수가 없어요. 무의식중에서만 저렇게 센 힘이 나옵니다. 신기하죠?
대체로 낮에는 운전이나 독서, 무거운 짐을 들거나 헬스장 가거나~ 집중할 때 많이 일어납니다.
밤에는 자기도 모르게 수면 중 습관으로 이를 악뭅니다.
이갈이를 병행하기도 하죠.
3. 이악물기 문제
그럼 이게 무슨 문제를 가져오느냐?
아까 치아를 지지하고 있는 조직들이 있다고 했죠? 거기에 과부하가 걸립니다.
치아 자체도 마모가 됩니다.
치아를 지지하는 조직들도 힘을 받아서 하나씩 탈 나기 시작합니다.
일단 잇몸이 망가지겠죠? 그래서 치주염이나 치수염이 올 수 있습니다.
아래 유튜브에서 조금 더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깨물 때 쓰는 근육이 있습니다. 이게 머리의 옆면에서부터 내려오는 근육인데 여기에 과부하가 걸립니다.
누가 우리 머리를 양옆에서 계속 꾹 누른다고 생각해 보세요
그래서 두통이 발생합니다.
당연히 턱관절도 힘을 너무 받고 있으니 탈 나겠죠?
그래서 턱관절 장애도 발생합니다.
그리고 미용적으로 안 좋은 부분도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사각턱이 있습니다.
오징어 많이 씹으면 사각턱 된다고 하죠? 그것과 똑같습니다.
턱 근육을 하도 많이 쓰니까 얘네가 성장을 합니다 무슨 헬스장 역기 든 것 마냥..
그래서 근육이 자라서 얼굴이 네모나게 됩니다.
다음 편에는 스스로 이 악물기를 진단하는 방법을 써보겠습니다.
리브러쉬를 정기구독 해보세요. 나에게 꼭 맞는 제품은 물론, 2주에 한 번씩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맞춤형 구강 케어 지식을 안내합니다.
[리브러쉬 구강 타입 테스트를 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