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체중아, 조산 원인은 잇몸

전신질환과 잇몸병의 연관성, 4탄으로 잇몸 – 조산 (저체중아) 에 대한 내용입니다.

[전신질환과 잇몸의 연관성]

영국에서 임신 39주째에 태아가 사망했습니다. 그 원인은 산모의 치주 질환이었습니다. 실제 영국 언론에 보도되었던 내용입니다.​

잇몸과 저체중아, 조산은 어떤 연결고리가 있을까요? ​언뜻 생각하기에는 잇몸 – 조산 두 단어는 연결고리가 없어보입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연구결과를 보면, 잇몸병(치주 질환)이 있는 경우 조산아, 저체중아 출산 확률이 증가합니다.

​1. 잇몸 – 조산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

잇몸병은 단순한 국소 감염 증세가 아닙니다.

잇몸에서 피나고 붓고 고름 좀 난다고 해서, 잇몸만의 문제 혹은 치아 문제라고 생각하셨다면, 이제는 그 생각을 조금 바꾸셔야 합니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치과대학 연구팀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미국에서 임신부의 잇몸병 때문에 매년 4.5만 명의 조산아가 태어납니다. 전체 조산아의 약 20% 정도 되는 수치입니다.

미국 내 조사에 따르면 잇몸병이 있는 임신부는 조산율이 4배, 저체중아 출산율은 2배 정도 증가합니다. 다른 연구에서는 무려 7배까지 차이 나는 결과를 보인 적도 있습니다. 잇몸 – 조산 둘의 상관관계는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매우 큰 셈입니다.

잇몸 조산 - 1

잇몸 – 조산 연결고리는 무엇일까요?

바로 잇몸병을 일으키는 세균과 저체중아를 출산하게 하는 세균이 같은 세균이기 때문입니다.

잇몸병을 일으키는 세균과 염증물질이 혈관을 타고 온몸으로 퍼져서 흐르다가 양막에 도착합니다. 이러한 세균 전파는 양수, 태반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양막에서 염증이 일어나면서 태반의 수축을 유발합니다. 그래서 조산아 출산과 저체중아 출산이 발생합니다.

또 다른 원인으로는 잇몸에서 발생한 국소 염증에 의해 생성된 사이토카인이 혈류를 통해 확산되는 기작입니다. 잇몸에서 시작된 염증물질이 전신적으로 퍼지면서, 양수까지 도달하는 것입니다.

Inflammatory cytokines and antioxidants in midtrimester amniotic fluid: Correlation with pregnancy outcome 논문에 따르면, PGE-2, IL-6등의 사이토카인이 높은 수치일 때 양수 내에서도 상승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2. 잇몸병 예방하기

잇몸병의 제1원인은 플라그입니다. 그래서 평소 플라그가 끼지 않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플라그 속에 세균이 아주 많습니다. 앞서 이야기한 조산, 저체중아 출산과 관련된 세균들도 매우 많습니다.

나에게 맞는 칫솔 치약으로 열심히 닦아주고, 정기적으로 꼭 치과 가서 스케일링 받고 구강 검진을 받으면 좋습니다.

임신 중 잇몸병 치료하기

임신 중에는 치료가 어렵습니다.

특히 임신 1기인 1주에서 13주 차, 그리고 임신 3기인 28주차 이후부터 출산 전까지는 가급적 치료를 피해야 합니다. 치과 치료를 추천하는 시기는 안정기라고도 불리는 임신 2기(14주~28주) 입니다.

이때도 반드시! 임신 중임을 밝히고 진통제, 항생제 복용 등에 대해 상담을 받아야 합니다.

지금 바로 구강 타입을 알아보세요!

구강 케어 용품은 자신에게 가장 알맞은 제품을 사용해야 합니다. 내게 알맞은 제품은 무엇일까요? 지금 바로 구강타입테스트를 시행해 보세요.

구강 지식 알아보기

다양한 구강 케어 지식을 알아보세요

[관련 상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