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산부에게 해로운 치약 성분은 무엇일까요? 임산부 치약 이야기입니다.
임산부와 태아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성분들은 무엇인지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지난번에 이야기했지만 왜 임산부가 치아와 잇몸 건강에 신경 써야만 하는지 간단히 다시 요약해드리겠습니다.
– 임산부는 호르몬의 영향으로 잇몸과 치아가 안 좋아짐.
– 잇몸병은 태아의 건강과 직결됨. 조산, 저체중아 출산을 불러옴.
– 미국 연구진 조사 결과, 한 해 조산, 저체중아의 무려 20%가 산모의 잇몸병 때문임.
– 결론 : 적당한 불소가 들어간 치약, 잇몸 치약 등이 필요함. 임산부에게 안 좋은 성분이 들어간 치약은 제외해야 함.

1. SLS, SDS, SLES
이들은 합성 계면활성제입니다.
국내 일부 치약 그리고 많은 수의 해외 치약에서 SLS와 같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합니다.
계면활성제는 비누랑 같은 것입니다. 기름기를 제거하기 위해 넣습니다.
문제는 합성 계면활성제들이 구내염, 구강건조증을 불러올 수 있는 성분이라는 것입니다.
이들은 입 속에 있는 점막을 자극하고 민감한 상태로 만듭니다.
그리고 입 안을 마르게 합니다. 그래서 구강건조증을 불러옵니다.
입안이 가뭄 상태가 되는 것이죠.
그리고 구강건조증 등은 세균의 활성을 높이고 잇몸에 안 좋은 영향을 줍니다.
세균이 증가하다 보니 입냄새도 증가합니다.
세균이 증가하니 구내염도 발생합니다. 세균총의 불균형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임산부 치약 내에는 이들 성분이 없는 것이 좋습니다.

2. MIT, CMIT
가습기 살균제 성분으로 유명합니다.
국내에서는 완전 퇴출되어 현재 국내 치약에는 거의 없는 성분입니다.
당연히 임산부 치약 내에 들어가서 좋을 것이 없는 성분입니다.
하지만 일부 외국 치약에는 여전히 사용 중입니다.
가습기 살균제 성분이라고 하면 대부분의 분들이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MIT, CMIT 라고 하면 대부분이 모르십니다.
꼭 치약 뒷면 성분표를 체크해서 이와 같은 성분이 없는지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보통 SLS와 함께 섞어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3. 미세플라스틱
치약 중 알갱이가 있는 치약이 있습니다.
이 중 일부는 마이크로비즈라 불리는 것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들이 잇몸에 박힌다는 것입니다. 녹지도 않아서 문제가 됩니다.
잇몸이 안 좋아지게 됩니다.
4. 파라벤
파라벤, 부틸파라벤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논란이 있는 성분입니다.
알러지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는 의견과, 안전하다는 의견 둘 다 있습니다.
지금은 인체에 큰 영향을 미치진 않는다는 쪽이 더 우세하긴 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논란이 있는 성분이기에 적어 놓긴 하겠습니다.
5. 트리클로산
국내에서는 퇴출된 성분이지만 아주 일부, 해외 치약에서 검출된다고 합니다.
이게 사실 각광받던 좋은 성분이었습니다
세균을 잡는데 좋은 성분이라 알려졌죠.
하지만… 지금은 국내에서는 다 퇴출되었습니다.
임산부 치약 내에도 없어야 하는 성분입니다.
발암 가능성이 대두되었기 때문입니다.
현재 트리클로산에 대해서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여전히 논란이 있는 성분입니다.
그래서 여전히 해외 치약 중에는 해당 성분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6. 기타
그 외 임산부에게 해로울 수 있는 성분으로는 벤조페논, PEG, 벤조산나트륨 등이 있습니다.

임산부에게 해로운 성분들은 생각보다 많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허가를 해주지 않습니다.
그런데 해외는 기준이 다릅니다.
오히려 치약에 있어서는 우리나라가 더 엄격하게 확인합니다.
이상은 임산부에게 해로운 치약 성분 이야기였습니다.
임산부 치아 관리가 궁금하시면 언제든 리브러쉬에 문의주세요.
그리고 임산부 치아 관리는 리브러쉬 임산부 케어 세트에 맡겨주세요!
[관련 상품 보기]
지금 바로 구강 타입을 알아보세요!
구강 케어 용품은 자신에게 가장 알맞은 제품을 사용해야 합니다. 내게 알맞은 제품은 무엇일까요? 지금 바로 구강타입테스트를 시행해 보세요.